우리는 무엇을, 어떻게 생각하고 먹어야 하나 | 국민농업포럼 상임공동대표 황민영
- 작성일2020/03/05 11:29
- 조회 391
우리는 무엇을, 어떻게 생각하고 먹어야 하나
| 국민농업포럼 상임공동대표 황민영
사람은 먹어야 산다. 매일 매일 먹어야 하고, 아니 하루 세끼를 먹는 것이 보통 사람들의 식습관이다. 그런데 우리가 살기 위해서 먹고 있는 먹을거리, 식품, 음식들에 대한 의문과 우려가 점점 커지고 있다. 우선은 지구촌적 고민이지만, 우리의 식량자급률이 정상적인 나라, 품격이 있는 국가로서 최소한 확보해야 할 수준을 크게 밑돌고 있기 때문이다. 자급률이 낮은 것 자체와 함께 낮음으로써 파생되는 사회경제적, 문화적, 그리고 식품안전성이 더욱 걱정이다.
먹을거리, 돈벌이 수단으로 전락
최근 우리 식생활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 안전성 문제이다. 기본적으로 식량, 식품이 독과점화, 산업화 되면서 농식품은 안전성이 담보되지 않는다. 더욱이 수입농식품은 그렇다. 생산과정에서 과다한 화학 비료·농약 사용, 축산물의 사육, 제조과정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항생제, 식품의 제조, 상품화 과정의 식품첨가물 남용은 건강을 크게 위협하게 되고, 특히 자라나는 영유아, 청소년기 학생들에게는 평생 건강문제이기도 하지만, 이미 그 심각성이 현재화되고 있다.
잘못된 식생활이 되레 건강 위협
먹는 행위는 인간이 살아가기 위한 원초적 행위이지만, 우리는 건강한 삶, 인간다운 삶을 살기를 원한다. 그렇기 때문에 식생활은 인간이 살아가는 물질적, 그리고 정신적 조건을 충족하는 식행위이고, 식문화여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오늘의 식생활은 먹을거리도, 먹는 방식도 새롭게 인식하고 실천해야 할 때이다. 건강하게 살기 위한 삶의 기본조건인 식생활이 오히려 인간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것은 먹을거리가 돈벌이의 중요한 수단으로 전락하면서 파생되고 있다. 인간의 탐욕은 끝이 없다. 이에 식생활은 인간의 건강뿐만 아니라 생태·환경, 기후변화와도 깊은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한다.
또 비만은 우리가 질병으로 인식할 정도로 확산되고 있다. 비만, 당뇨, 고지혈증 등 현대병을 생활습관병이라고 한다. 생활습관을 바꾸면 대부분 치유될 수 있는 질병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생활습관에서, 가장 주목하는 것은 식습관이다. 생활습관병은 잘못된 식생활로 인한 질병, 소위 식원병(食源病)이기 때문에 식습관을 바로 잡으면, 건강한 삶을 이룰 수 있다는 것이다. 육체적 건강뿐만이 아니라, 정신 건강, 사회 건강, 인간의 삶 자체를 풍요롭게 할 수 있다. 그만큼 식생활은 우리의 삶 자체이다.
식생활 관련 문제를 우리의 공동과제로 인식하고 대처해 나가야 한다. 우리는 모두가 건강하고 풍요로운 삶을 누릴 권리가 있다. 이는 기본 인권이고 주권이다. 이를 위해 개인도 나서고 국가도 나서야 한다. 공동체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그 일환이 식생활교육지원법의 제정이고, ‘환경·건강·배려’를 기본 가치로 하는 국가식생활교육 기본지침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중앙·지방 정부의 역할이 각각 있다. 그러나 더욱 중요한 것은 식생활 관련 제 시민사회단체, 업계, 학계 등 민간 주체들의 역할이다.
식생활교육 기본지침은 식생활을 단순히 먹는 행위가 아닌 생산·유통·소비까지 아우르고, 친환경적인 생산, 기후변화를 생각하고 안전성이 담보되는 유통, 그리고 이에 관여하는 모든 사람, 더 나아가 밥상에 같이하는 가족구성원, 공동체 성원 간에 서로 배려하고 감사하는 마음을 교류하는 것까지를 포괄하고 있다.
우리는 삶의 물질적 조건에서 풍요시대를 살고 있다. 그러나 정신적으로 육체적으로 그러한가는 다른 문제이다. 우리는 혼란스러울 정도로 먹을거리, 영양, 건강, 질병과 관련한 정보의 홍수 속에 살고 있다. 그것이 정말로 옳은 정보인가를 판단하기는 참으로 어려운 현실이다.
농식품이 산업화, 상업화, 세계화되면서, 돈벌이 수단이 되고, 건강에 직간접적 잠재적 위험물로 다가와 있다. 한 나라가 안전한 식품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체계를 갖춰야 하는 것은 의무이다. 그것은 국민의 생존을 위한 기본조건이기도 하지만 지구촌을 생각하면 더욱 그렇다. 그러나 우리의 농식품은 안전하고, 안정적인가. 국가의 농식품정책은 국민이 신뢰하고 만족할 수준인가.
최근 쌀 농업에 대한 몰가치적 인식, 무책임한 의식을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쌀 농업은 우리농업의 최후 보루이다. 그것은 우리민족의 숙명적 조건이다. 여전히 쌀은 우리민족의 생명창고이다. 쌀이 무너지면 농업이 무너지고, 농촌이 무너진다. 그나마 오늘 농촌에서 농민이 지탱하고, 농촌경제, 지역경제가 숨을 쉬고 있는 것은 쌀 농업이란 사실을 깊이 인식해야 한다. 우리와 비슷한 일본이 엄청난 사회적 비용을 지불하면서도 쌀 농업을 포기하지 않고, 식량자급률 제고, 쌀농업 유지에 매달리고 있는 것은 쌀 농업이 갖고 있는 정체성, 그리고 다양한 역할과 기능이 있기 때문이다.
올바른 식생활교육 활성화 시급
우리가 지향해야 할 식생활교육의 목표는 국민의 영양·건강을 담보하는 농식품이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공급돼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국민건강영양체계의 확립에 기본 방점이 있다. 현재와 같이 국민의 영양을 대부분 수입 농식품에 의존하는 조건에서는 유리한 국민 영양, 국민 보건을 위한 효율적인 식생활을 추진할 수 없다. 식생활교육운동은 지속가능한 농업·농촌의 발전을 위한 농민운동이고, 국민운동이란 사실을 인식하고 다 같이 나서야 한다.
* 이 글은 한국농어민신문 2010년7월15일자 (제2257호)에 실린 내용입니다.
| 국민농업포럼 상임공동대표 황민영
사람은 먹어야 산다. 매일 매일 먹어야 하고, 아니 하루 세끼를 먹는 것이 보통 사람들의 식습관이다. 그런데 우리가 살기 위해서 먹고 있는 먹을거리, 식품, 음식들에 대한 의문과 우려가 점점 커지고 있다. 우선은 지구촌적 고민이지만, 우리의 식량자급률이 정상적인 나라, 품격이 있는 국가로서 최소한 확보해야 할 수준을 크게 밑돌고 있기 때문이다. 자급률이 낮은 것 자체와 함께 낮음으로써 파생되는 사회경제적, 문화적, 그리고 식품안전성이 더욱 걱정이다.
먹을거리, 돈벌이 수단으로 전락
최근 우리 식생활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 안전성 문제이다. 기본적으로 식량, 식품이 독과점화, 산업화 되면서 농식품은 안전성이 담보되지 않는다. 더욱이 수입농식품은 그렇다. 생산과정에서 과다한 화학 비료·농약 사용, 축산물의 사육, 제조과정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항생제, 식품의 제조, 상품화 과정의 식품첨가물 남용은 건강을 크게 위협하게 되고, 특히 자라나는 영유아, 청소년기 학생들에게는 평생 건강문제이기도 하지만, 이미 그 심각성이 현재화되고 있다.
잘못된 식생활이 되레 건강 위협
먹는 행위는 인간이 살아가기 위한 원초적 행위이지만, 우리는 건강한 삶, 인간다운 삶을 살기를 원한다. 그렇기 때문에 식생활은 인간이 살아가는 물질적, 그리고 정신적 조건을 충족하는 식행위이고, 식문화여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오늘의 식생활은 먹을거리도, 먹는 방식도 새롭게 인식하고 실천해야 할 때이다. 건강하게 살기 위한 삶의 기본조건인 식생활이 오히려 인간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것은 먹을거리가 돈벌이의 중요한 수단으로 전락하면서 파생되고 있다. 인간의 탐욕은 끝이 없다. 이에 식생활은 인간의 건강뿐만 아니라 생태·환경, 기후변화와도 깊은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한다.
또 비만은 우리가 질병으로 인식할 정도로 확산되고 있다. 비만, 당뇨, 고지혈증 등 현대병을 생활습관병이라고 한다. 생활습관을 바꾸면 대부분 치유될 수 있는 질병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생활습관에서, 가장 주목하는 것은 식습관이다. 생활습관병은 잘못된 식생활로 인한 질병, 소위 식원병(食源病)이기 때문에 식습관을 바로 잡으면, 건강한 삶을 이룰 수 있다는 것이다. 육체적 건강뿐만이 아니라, 정신 건강, 사회 건강, 인간의 삶 자체를 풍요롭게 할 수 있다. 그만큼 식생활은 우리의 삶 자체이다.
식생활 관련 문제를 우리의 공동과제로 인식하고 대처해 나가야 한다. 우리는 모두가 건강하고 풍요로운 삶을 누릴 권리가 있다. 이는 기본 인권이고 주권이다. 이를 위해 개인도 나서고 국가도 나서야 한다. 공동체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그 일환이 식생활교육지원법의 제정이고, ‘환경·건강·배려’를 기본 가치로 하는 국가식생활교육 기본지침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중앙·지방 정부의 역할이 각각 있다. 그러나 더욱 중요한 것은 식생활 관련 제 시민사회단체, 업계, 학계 등 민간 주체들의 역할이다.
식생활교육 기본지침은 식생활을 단순히 먹는 행위가 아닌 생산·유통·소비까지 아우르고, 친환경적인 생산, 기후변화를 생각하고 안전성이 담보되는 유통, 그리고 이에 관여하는 모든 사람, 더 나아가 밥상에 같이하는 가족구성원, 공동체 성원 간에 서로 배려하고 감사하는 마음을 교류하는 것까지를 포괄하고 있다.
우리는 삶의 물질적 조건에서 풍요시대를 살고 있다. 그러나 정신적으로 육체적으로 그러한가는 다른 문제이다. 우리는 혼란스러울 정도로 먹을거리, 영양, 건강, 질병과 관련한 정보의 홍수 속에 살고 있다. 그것이 정말로 옳은 정보인가를 판단하기는 참으로 어려운 현실이다.
농식품이 산업화, 상업화, 세계화되면서, 돈벌이 수단이 되고, 건강에 직간접적 잠재적 위험물로 다가와 있다. 한 나라가 안전한 식품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체계를 갖춰야 하는 것은 의무이다. 그것은 국민의 생존을 위한 기본조건이기도 하지만 지구촌을 생각하면 더욱 그렇다. 그러나 우리의 농식품은 안전하고, 안정적인가. 국가의 농식품정책은 국민이 신뢰하고 만족할 수준인가.
최근 쌀 농업에 대한 몰가치적 인식, 무책임한 의식을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쌀 농업은 우리농업의 최후 보루이다. 그것은 우리민족의 숙명적 조건이다. 여전히 쌀은 우리민족의 생명창고이다. 쌀이 무너지면 농업이 무너지고, 농촌이 무너진다. 그나마 오늘 농촌에서 농민이 지탱하고, 농촌경제, 지역경제가 숨을 쉬고 있는 것은 쌀 농업이란 사실을 깊이 인식해야 한다. 우리와 비슷한 일본이 엄청난 사회적 비용을 지불하면서도 쌀 농업을 포기하지 않고, 식량자급률 제고, 쌀농업 유지에 매달리고 있는 것은 쌀 농업이 갖고 있는 정체성, 그리고 다양한 역할과 기능이 있기 때문이다.
올바른 식생활교육 활성화 시급
우리가 지향해야 할 식생활교육의 목표는 국민의 영양·건강을 담보하는 농식품이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공급돼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국민건강영양체계의 확립에 기본 방점이 있다. 현재와 같이 국민의 영양을 대부분 수입 농식품에 의존하는 조건에서는 유리한 국민 영양, 국민 보건을 위한 효율적인 식생활을 추진할 수 없다. 식생활교육운동은 지속가능한 농업·농촌의 발전을 위한 농민운동이고, 국민운동이란 사실을 인식하고 다 같이 나서야 한다.
* 이 글은 한국농어민신문 2010년7월15일자 (제2257호)에 실린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