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TOP

재단칼럼

    농식품 6차 산업의 성공 요인 | 이병오(강원대학교 농업자원경제학과 교수) 
    • 작성일2020/03/05 15:38
    • 조회 471
    농식품 6차 산업의 성공 요인
    | 이병오(강원대학교 농업자원경제학과 교수) 


    새 정부는 농업분야 국정과제의 한 축으로 ‘농림축산업의 신성장 동력화‘를 표방하고, 그 추진계획의 일환으로 ‘농식품의 6차 산업화‘를 제시하였다. 즉, 농업의 생산과 연계하여 유통·가공·외식·관광 등 2·3차 산업을 활성화하여 농촌지역의 신성장동력과 일자리를 창출하고, 6차 산업화 촉진을 위한 규제완화로 가공·향토산업을 육성하고 마을공동체를 중심으로 관광·체험 등 3차 산업화하여 농촌관광·체험 활성화를 꾀하자는 취지이다.

    농업발전과 농촌활성화는 불가분의 선순환구조

    주지하는 바와 같이 우리나라의 농업과 농촌은 WTO 체제의 정착과 FTA 확산으로, 우루과이라운드 이전과 비교할 때 훨씬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는 것이 사실이다. 외국에서 값싼 농산물들이 대량으로 수입되는 상황에서, 우리는 보다 부가가치가 높은 차별화 상품을 생산하여 난국을 타개해 나가야 한다. 그런데 농촌은 고령화되어 있고, 많은 농업인들은 농산물 생산기술이 뛰어나다 하더라도, 그것을 식품 등 차별화 상품으로 만들 수 있는 기술력과 자본력, 그리고 판매할 수 있는 마케팅력이 부족한 현실이다.
    농업의 생산성 및 경쟁력 향상을 위해서는 우선 농업인들이 힘을 합쳐야 하며, 필요 시 농업 외부의 다른 업종과도 과감하게 연대하여야 한다. 농촌에서 소외되기 쉬운 여성 농업인이나 고령자들에게도 적절한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 또한 농업부문에서의 수익창출, 다양한 농외소득원 발굴과 더불어, 농촌주민이 서로 협력하고 공동체가 활성화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농업발전과 농촌활성화는 불가분의 선순환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일본의 농촌은 우리보다 먼저 고령화 사회를 맞았지만, 농촌지역이 활력과 풍요로움을 잘 유지하고 있다. 개방화의 여건이 우리와 같지만, 마을단위로 주민들이 힘을 합쳐 마을공동체 사업(community business)을 일구고, 농업인들이 농식품 가공이나 그린 투어리즘을 통해 사업영역을 확대해 나간 덕분이라고 생각한다. 일본 정부나 지자체도 농상공 연대나 식품산업 클러스터 조성, 식생활 교육, 지산지소(local food system) 등의 정책으로 측면지원을 하고 있다. 이것이 6차 산업화의 좋은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6차 산업화가 성공적으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전제조건이 있다.
    첫째, 기본적으로 튼튼한 농업과 자립심 강한 농업인이 출발점이어야 한다. 6차 산업화는 농업인 및 농업법인이 생산한 농산물을 스스로 가공하거나 판매하는 방향으로 비즈니스 영역을 확장해 나가는 개념이다. 따라서 농업인이라 하더라도 비즈니스 마인드로 강하게 무장하고, 시장에서 소비자 마음을 사로잡는 매력 있는 상품을 만들겠다는 주체의식을 갖고 시작해야 한다.

    유·무형 지역자원 최대한 활용해야

    6차 산업화와 유사한 개념으로, 우리나라에서도 이미 시책화 되어 있는 ‘농공상 융합형 중소기업 육성‘이 있다. 이것은 농업인이 제조업이나 유통업자와 손을 잡고, 비즈니스를 추진하는 것이다. 중요한 것은 농업인 자신이 비즈니스 마인드를 가지고 주체적이고 적극적으로 참여하여야 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될 수 있다는 점이다.
    둘째, 유·무형의 지역자원을 최대한 활용하여야 한다. 6차 산업화와 농공상 융합은 지역자원 활용이라는 측면에서 입장이 좀 다르다. 6차 산업화는 농업인이 스스로 생산한 농산물을 원료로 하여, 자신이 직접 가공·유통·관광으로 확장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당연히 지역자원을 기반으로 한 비즈니스이다. 그러나 농공상 융합은 다른 사업자와의 비즈니스 결합이고, 사업의 초점이 보다 우수한 제조 및 판매 노하우를 여하히 농업에 도입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느냐에 있다 보니, 경우에 따라 지역의 경계를 뛰어 넘어 농산물이 원료로 사용될 수 있다.
    아직도 우리 농촌에는 오랜 역사를 통해 전해 내려오는 지역의 특색 있는 전통이나 제조기술 등이 많이 남아 있다. 이러한 소중한 무형자원들을 많이 발굴하고 현대에 맞게 발전시켜 활용한다면, 이런 제품이야말로 가장 경쟁력 있고 차별화된 상품일 것이다. 수입 농산물이 도저히 따라올 수 없는 영역이기 때문이다. 이 부분이 튼튼해야 6차 산업화가 지역 내생적 발전모델로 성장해 나갈 수 있다.

    농촌의 공동체 기능 복원하고 네트워크 강화해야

    셋째, 농촌의 공동체 기능을 복원하고 네트워크를 강화해야 한다. 우리 농촌이나 마을이 갖고 있던 아름다운 공동체 기능이 산업화 과정에서 많이 훼손되었다. 이웃과 협동하고 상부상조하는 공동체 기능이 되살아 날 때, 6차 산업화도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
    이렇게 되면 고령화된 농촌에서 고용창출이 일어나고, 농촌이 화기애애하고 활기차게 될 것이다. 도시민들이 농촌에 와서 이런 풍요로움을 접하고 갈 때, 행복 바이러스가 도시에 널리 전파될 것임은 물론이다. 도시민들이 계속 찾고 싶은 농촌이 된다면, 농촌에 아이들이 찾아오고, 농외소득을 통해 농촌이 보다 풍요로워지는 선순환 구조를 형성하게 될 것이다.

    이 글은 2013년 4월 5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실린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