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TOP

재단칼럼

    지역먹거리계획, 무엇을 얻고자 하는가에 대한 ‘문답’ | 황영모 전북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지역재단 자문위원
    • 작성일2024/09/27 11:28
    • 조회 72
    '지역 생산-지역 소비' 가치사슬 구축
    지역사회 취약계층 돌봄으로 이어져
    먹거리 통해 ‘지역사회의 망’ 연결

    지역먹거리계획은 먹거리의 생산에서부터 소비를 아우르는 순환체계를 강조한다. 많은 지역에서 소비자 밥상에 필요한 연중 다품목 생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직매장과 학교급식을 넘어 공공급식까지 지역 식재료 공급도 늘려가고 있다. 그 지역에서 생산되지 못하거나 부족한 것은 지역 간 연계를 통해 보완된다.

    말 그대로 지역사회에서 ‘먹거리 가치사슬 체계’를 갖춰가고 있다. 이 과정에서 생산자의 소득과 소비의 편익이 상호 교차된다. 먹거리의 지역순환경제 효과이다.

    한편에서는 사회복지 영역으로 간주되어온 돌봄 영역에서 ‘먹거리’의 힘이 발휘되고 있다. 수급자 중심으로 식품을 제공하고 영양 관리하는데 그치지 않는다. 경제적+사회적 이유로 힘든 상황에 놓인 이웃을 먹거리를 통해 ‘돌봄’이 이뤄지고 있다.

    대부분의 지역에서 밑반찬과 도시락 배달이 이뤄진다. 정기적으로 주민자치회, 지역사회보장협의체, 공동체조직 등이 힘 닿는 대로 취약자를 찾아 간다. 안부를 묻고 일상을 챙기고, 생활돌봄 서비스도 결합하여 확장되는 양상이다.

    식생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반영해서 식생활 교육도 다채롭다. 영양 관리와 식습관 개선에 머물지 않는다. 먹거리를 생산하는 농업·농촌이 주된 주제이다. 먹거리 문제의 배경으로 기후위기를 고려한다.

    관행적인 교육과 지식을 전달하는데 그치지 않는다. 조리를 통해 먹거리의 맛을 체득하는 장을 펼친다. 농업과 농촌의 완성은 요리와 음식으로 가능하다고 강조하는 까닭이다. 이렇게 지역 먹거리는 생활화된다. 먹거리의 가치를 몸소 체득하고 실천하는 이른바 ‘먹거리 시민’이 되어간다.

    우리 사회가 지역먹거리계획 실행으로 기대하는 ‘노림수’는 3개의 축이 교차하는 형태이다.

    첫째, 먹거리의 생산+가공+급식+소비+폐기+순환 등에 대한 ‘가치사슬’이다. 지역생산-지역소비로 요약된다. 둘째, 지역 먹거리 보편화로 얻고자 하는 ‘목적’과 관련된다. 바로 ‘먹거리 취약성 감소’이다. 먹거리 돌봄이 대표 수단이다. 셋째, 한 사람 한 사람이 먹거리 가치를 이해하고 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는 ‘역량’으로 귀결된다. 식해력(食解力)을 갖춘 ‘먹거리 시민’이다.

    요컨대, 지역먹거리계획은 지역적으로 지역 먹거리 생산-소비체계를 갖추면서(1축), 사회적으로 먹거리 취약성을 낮춰가는 전략이다(2축). 그 결과로 시민 개개인이 먹거리에 있어 생활역량을 높이는 것을 지향한다(3축). 씨줄과 날줄, 가로축과 세로축이 결합된 방식의 2차원 ‘평면’을 넘는다. ‘시민역량’이 더해져 결국 3개의 축이 ‘입체’를 이룬다. 지역먹거리계획을 한마디로 요약하여 정의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다. 그래서 중층적인 다차원의 종합예술이라 평가한다.

    지금까지 먹거리 전략과 관련하여 여러 슬로건이 이어져 왔다. ‘생산자에게 소득을 소비자에게 편익을(로컬푸드), 아이들에게 차별없는 따뜻한 밥을 먹이자(무상급식), 경제적 취약계층에게 최소한의 식품 제공(식품쿠폰)’ 등을 꼽을 수 있다.

    모두가 당시 사회적으로 직면한 현상을 개선해 나가고자 하는 실행과제였다. 문제를 해결하는 가리킴으로 손색이 없었다. 사회적+정책적 동력을 만들어 냈다. 그러한 과정들이 모였다. 그리고 ‘먹거리 종합전략’으로써 지금의 지역먹거리계획으로 구조화되었다.

    이런 점에서 지역사회에서 이뤄지는 먹거리 실천 활동을 살펴보자.

    사회적협동조합이 마을의 공유부엌을 통해 식생활 교육을 하면서 조리하고 이웃과 음식을 나눈다. 당연히 지역 식재료를 사용한다. 사회복지시설 급식소에 지역 식재료가 공급되고, 취약계층 식사배달과 돌봄이 이뤄진다. 주민자치센터 한 켠에 나눔냉장고를 두고, 사회보장협의체가 어려운 이웃을 돌본다.

    학교텃밭에서는 생산자가 이이들과 같이 토종 농작물을 기르고 식생태를 교육한다. 로컬푸드 직매장 옆 농가 레스토랑에는 가족들이 ‘채식밥상’을 줄이어 찾는다. 커뮤니티키친에서는 계층별 교육생에 맞게 식생활 교육의 정기 프로그램의 열기가 높다.

    소비자 단체는 모니터링단을 꾸려 직매장과 급식소 현장을 점검하고 개선과제를 작성한다. 시민들이 참여하여 계획을 세우고 점검하면서 개선해 나간다. 사회적으로 취약한 고령자·청년·학생과 ‘길 위의 아이들’까지 먹거리를 통해 ‘지역사회’의 망으로 연결되어 나가고 있다.

    물론 여러 영역에 걸쳐 다양한 정책 수단이 활용되고 있다. 부서 간 칸막이는 여전하고, 정부의 재정 여건은 악화되었다. 지역생산-지역소비에도 현실적 한계를 체감한다. 늘어난 정책에도 사각지대는 늘 생겨난다. 그리고 그 빈 공간을 지자체와 지역사회(시민사회)가 메꾸어 가고 있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지역먹거리계획 실행의 지금 방식은 과거와는 양상이 크게 달라졌다는 점이다. 아직 개별화와 칸막이의 아쉬움이 크다. 그러나 연결하고 연대하는 작동기제도 과거와는 사뭇 다르다. 특히 지역사회 차원에서 조망하면 ‘넓어지고, 깊어지고, 높아졌다’는 데로 생각이 다다른다. ‘다시, 지역먹거리계획으로 우리 사회는 무엇을 얻고자 하는가’를 묻고, 답하는 이유이다.

    출처 : 한국농어민신문(https://www.agrinet.co.kr/news/articleView.html?idxno=331086)

     
    • 첨부파일1 황영모.png (용량 : 123.9K / 다운로드수 : 18)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