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책연구자료
-
‘정책연구자료’는 도시와 농촌이 상생하는 지속가능한 사회실현을 목표로 민·관이 진행되는 각종 연구, 외부 기관의 자료와 정책 자료 등을 올리는 공간입니다.
자료검색의 편의성을 고려해 ‘지역활성화·사회혁신’, ‘먹거리정책·푸드플랜’, ‘자치분권·주민자치’, ‘사회적경제’, ‘농정개혁·농업, 농촌혁신’, ‘농협개혁·협동조합’ 등의 영역으로 구분해서 자료를 게재합니다.
(※하단 검색 창에, 희망하는 영역을 입력하시면 자료 찾기에 도움이 됩니다. 자료를 인용할 때는 해당 기관의 출처를 반드시 밝히기 바랍니다.)
[농정개혁-농업농촌혁신] 농가의 소득구조 및 소비성향 분석(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23.05)
- 작성일2023/10/06 13:03
- 조회 197
[농정개혁-농업농촌혁신] 농가의 소득구조 및 소비성향 분석(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23.05)
주요내용
연구 결과
- 2013~2021년 동안 모든 소득분위에서 농가소득이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증가는 공적이전소득 증가에 기인한다. 특히, 공적이전소득에 대한 농가소득의 의존성은 저소득분위 가구에서 더욱 현저하게 나타난다. 농가소비는 농가소득이 소득분위에 따라 유의미한 격차를 보이는 것과는 달리 1~3분 위의 소비지출 규모는 크게 차이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다만, 5분위 가 구의 경우 농가소득의 규모와 구성, 소비지출 규모 면에서 다른 분위와 확연하게 구분된다.
- 같은 기간 동안 농가소득 증가로 인한 가처분소득의 증가가 총소비지출의 증가를 상회하면서 모든 소득분위에서 평균소비성향이 감소하였다. 한계 소비성향 분석 결과에서는 소득유형별로 한계소비성향이 다르며, 소득분위별로 소비 증가를 유발하는 소득유형에 차이가 있음을 발견했다. 상대적 으로 소득 변동성이 작은 사업외소득과 공적이전소득의 한계소비성향이 높게 추정되었으며, 농업소득의 한계소비성향은 낮게 추정되었다. 소득분위별로 살펴봤을 때, 3분위 가구의 경우 소득유형과 관계없이 일단 소득이 증가하면 소비를 증가시키려는 경향이 강하며, 한계소비성향 또한 다른 분위에 비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정책 제언
- 가처분소득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평균소비성향이 꾸준하게 하락하고 있다는 사실은 소득을 증가시키는 정책이 반드시 소비의 증가로 이어져 농가의 후생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귀결되지 않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농가후생 증대를 위해서는 평균소비성향을 회복시킬 수 있는 일련의 정책이 시 행되어야 한다.
- 또한 안정적인 소득의 증가가 소비로 이어진다는 결과를 고려할 때, 농가소득 증대가 농가소비 증가-농가 후생 제고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농가소득증대 정책과 함께 농가소득의 불확실성과 변동성을 줄일 수 있는 정책이 병행되어야 한다.
원문 바로가기(한국농촌경제연구원)
주요내용
연구 결과
- 2013~2021년 동안 모든 소득분위에서 농가소득이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증가는 공적이전소득 증가에 기인한다. 특히, 공적이전소득에 대한 농가소득의 의존성은 저소득분위 가구에서 더욱 현저하게 나타난다. 농가소비는 농가소득이 소득분위에 따라 유의미한 격차를 보이는 것과는 달리 1~3분 위의 소비지출 규모는 크게 차이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다만, 5분위 가 구의 경우 농가소득의 규모와 구성, 소비지출 규모 면에서 다른 분위와 확연하게 구분된다.
- 같은 기간 동안 농가소득 증가로 인한 가처분소득의 증가가 총소비지출의 증가를 상회하면서 모든 소득분위에서 평균소비성향이 감소하였다. 한계 소비성향 분석 결과에서는 소득유형별로 한계소비성향이 다르며, 소득분위별로 소비 증가를 유발하는 소득유형에 차이가 있음을 발견했다. 상대적 으로 소득 변동성이 작은 사업외소득과 공적이전소득의 한계소비성향이 높게 추정되었으며, 농업소득의 한계소비성향은 낮게 추정되었다. 소득분위별로 살펴봤을 때, 3분위 가구의 경우 소득유형과 관계없이 일단 소득이 증가하면 소비를 증가시키려는 경향이 강하며, 한계소비성향 또한 다른 분위에 비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정책 제언
- 가처분소득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평균소비성향이 꾸준하게 하락하고 있다는 사실은 소득을 증가시키는 정책이 반드시 소비의 증가로 이어져 농가의 후생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귀결되지 않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농가후생 증대를 위해서는 평균소비성향을 회복시킬 수 있는 일련의 정책이 시 행되어야 한다.
- 또한 안정적인 소득의 증가가 소비로 이어진다는 결과를 고려할 때, 농가소득 증대가 농가소비 증가-농가 후생 제고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농가소득증대 정책과 함께 농가소득의 불확실성과 변동성을 줄일 수 있는 정책이 병행되어야 한다.
원문 바로가기(한국농촌경제연구원)